자바스크립트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산수 수준의 연산이 많이 쓰인다. 더하고 빼고 나누는 수준이기에 산수라고 표현했다. 계산기로 두들기면 나오는 간단한 값이 아닌가? 라고 처음에는 생각했지만 간단한 산수를 활용해 프로그램이 뚝딱뚝딱 나오는 걸 보면 신기하다.

 

 변수 x,y를 선언해 값을 주고 산술 연산자를 넣었다. 더하기, 빼기는 간단한데 % 개념이 신기하다. 나머지를 구해서 어디에 쓰나 싶겠지만 그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면 여러 곳에 활용이 가능하다. 간단한 예로는 나머지를 통해 홀수와 짝수 개념을 찾을 수 있고 4년에 한 번 돌아오는 윤달도 체크 할 수 있다.

 

<script>

var x=3;

             var y=2;

 

             document.write("두수의 합은? " + (x+y));

             document.write("<br><br>");

 

             document.write("두수의 차는? " + (x-y));

             document.write("<br><br>");

                          

             document.write("x y로 나눈 나머지는? " + (x % y));

             document.write("<br><br>");

                          

             document.write("y x로 나눈 나머지는?" + (y % x));

             document.write("<br><br>");

</script>

 

 

 자바스크립트를 통한 연산 결과이다.

다음은 ++-- 에 대해 알아보자. 처음 보았을 때 저건 뭐지?’ 라고 생각했던 기억이 난다. 기능은 간단하다. 어떤 값에 ++ 1을 더하고, -- 1을 빼는 거다. 자주 사용하면 x=x+1 보다 x++이 익숙해진다.




 moon이라는 변수를 선언하고 10이라는 값을 주었다. 아래 계산을 하면 답은 무엇일까?


이전글보기: [문돌이의IT] 자바스크립트 변수의 개념을 알아보자


<script>

             var moon ;

             moon= 10;

             moon= moon + 1

             moon++;

             moon--;

             document.write(moon);

</script>

 

 답은 11이다. 최초 10에서 1을 더하고 ++ 1을 더한 뒤 -- 로 다시 1을 차감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