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는 var 라고 표현하며 영어로 variable의 약자이다. 최초에 var을 적으면 변수를 선언한다고 하는데 엄청나게 유용하다. 변수 선언의 가장 큰 장점은 한 번 선언을 해두면 이후에는 단어 하나로 호출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script>
var moon="문돌이의IT"; 문자
var moondol=100; 숫자
var it=true; 논리값
</script>
변수 선언 후에는 뒤의 내용이 아무리 길어도 moon, moondol, it 이라고만 쓰면 그 내용을 호출한다. 프로그램 언어를 작성할 때 사용 가능한 방법은 3가지이다. 문자, 숫자, 논리값이라고 하는데 문자를 표현 할 때는 쌍 따옴표 “ ” 로 감싸야 한다. 논리형은 어떤 값에 대해 true 또는 false 라는 값을 나타낸다.
<script>
var moon="문돌이의IT";
var moondol=100;
var it=true;
alert(moon);
alert(moondol);
alert(it);
</script>
이제 제대로 반영이 되었는지 호출을 해보자. alert으로 해당 변수를 호출하면 결과가 나온다.
변수 선언을 하고 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script>
var moon="문돌이의IT";
var moondol=100;
var it; → true라는 값을 삭제함
alert(moon);
alert(moondol);
alert(it);
</script>
그림과 같이 undefined라고 출력 된다. 단어 뜻 그대로 정의되지 않았다는 내용이다. 값을 입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변수만 잘 활용해도 코딩에 들어가는 노다가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문돌이의 IT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돌이의IT] 자바스크립트 산술연산자의 종류를 알아보자 (0) | 2016.01.24 |
---|---|
[문돌이의IT] 자바스크립트 반복문을 파헤치자(for문) (0) | 2016.01.23 |
[문돌이의IT]자바스크립트 createElement(), createTextnode()로 요소 추가하기 (0) | 2016.01.22 |
[문돌이의IT] 자바스크립트 id, name 속성의 차이점 (0) | 2016.01.20 |
[문돌이의IT] 자바스크립트 Math객체로 랜덤효과 나타내기 (0) | 2016.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