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 구조는 제대로 이해하지 않으면 과락을 조심해야 하는 과목이다. 기출문제를 달달 암기해서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주요 문제들은 직접 풀 수 있도록 연습을 해야 한다. 불대수의 기본 공식 중 멱등법칙, 보수법칙, 드모르강, 복원법칙은 생소한 부분이니 확실히 알고 넘어가자.
개념도 중요하지만 역시 문제 풀이를 하면서 이해도 하고 답도 암기해 나가자. 일단 한 번 쭉 읽어보고 2회전 때 다시 자세히 공부를 할 계획이다.
- 플립플롭
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면 상태 변환 신호가 발생할 때 까지는 기존의 상태를 유지한다. 플립플롭은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기본소자인데 그 종류는 RS, JK, D, T, M/S가 있다.
- 자료구성의 단계
비트(0, 1) → 니블(4비트, 생소한 개념) → 바이트(8bit) → 워드 → 필드 → 레코드 → 블록 → 파일 → 데이터베이스
- 부동소수점
부동소수점을 사용하면 더 정교한 연산을 할 수 있다. 실수로 소수점 단위의 계산까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연산 수준에서는 큰 의미가 없지만 소수점 단위까지 오차를 확인해야 하는 과학 분야에서는 필요하다. 다만 지수와 가수를 분리하는 과정이 필요해서 연산 시간이 오래 걸린다.
- 스풀링 vs 버퍼링
스풀링: 보조기억장치, 다중 작업, 소프트웨어, 입출력 방식은 큐
버퍼링: 주기억 장치, 단일 작업, 하드웨어, 큐 동일
- 인터럽트 발생 시 CPU 체크(4지 선다)
프로그램 카운터, 사용한 모든 레지스터, 상태 조건 내용
- ROM(Read Only Memory) vs RAM(Random Access Memory)
ROM: 비휘발성 메모리, 변경이 적은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많이 사용
RAM: 휘발성 메모리, 주기억 장치, DRAM과 SRAM이 있음
동적 램(DRAM): 콘덴서, 재충전 필요, 전력 소모가 적고, 속도가 빠르고, 밀도가 높고, 가격은 저렴하며, 일반적인 주기억장치다
정적 램(SRAM): 플립플롭, 동적램과 반대, 용도는 캐시메모리
- 캐시메모리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메모리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Buffer Memory
매핑프로세스, 쓰기 정책
'문돌이의 IT > IT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과생의 정보처리기사 필기독학(D-17) – 4과목 소프트웨어 공학 (0) | 2016.02.18 |
---|---|
문과생의 정보처리기사 필기독학(D-18) – 3과목 운영체제 (0) | 2016.02.17 |
문과생의 정보처리기사 필기독학(D-20) – 1과목 데이터베이스 (0) | 2016.02.15 |
문과생의 정보처리기사 필기독학(D-21) – 1과목 데이터베이스 (0) | 2016.02.14 |
OCJP 자격증 취득 후 출력 안될 때 (0) | 2016.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