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D 자격증 취득을 위해 관련내용을 정리하며 공부하고 있다.
정확히 개념이 잡히지 않은 부분에 대해 SQL자격검정 실전문제 책을 풀면서 정리하는 내용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DB 가이드 홈페이지에 이론적으로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 성능데이터모델링: 설계단계에서부터 데이터베이스 처리 성능을 고려해야 한다.
데이터모델링 수행결과
1. 정규화
2. 용량산정
3. 트랜잭션 유형파악
4. 반정규화(역정규화) 수행
5. 조정 수행
6. 성능관점에서 데이터모델 검증
- 중복속성에 대한 분리가 1차 정규화 대상이 되며, row 단위의 중복도 1차 정규화, 컬럼의 중복도 1차 정규화의 대상이다.
- 반정규화 정보에 대한 재현의 적시성으로 반정규화를 판단
- 하나의 테이블 전체 컬럼 중 자주 이용하는 집중화된 컬럼들이 있을 때 디스크 I/O를 줄이기 위해 해당 컬럼들을 별도로 모아두는 반정규화 기법으로 적절한 것? 테이블추가 - 부분테이블 추가
- 최근에 변경된 값만을 조회하면 과도한 조인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어 나타난다.
- 논리적으로는 하나의 테이블이지만ㅇ물리적으로는 여러 개의 테이블로 분리하는 기법? 파티셔닝
슈퍼/서브 타입 데이터 모델의 변환기술
1. 개별 발생 트랜잭션은 개별 테이블로 구성
2. 슈퍼타입+서브타입 트랜잭션은 슈퍼타입+서브타입 테이블로 구성
3. 전체를 하나로 묶어 트랜잭션이 발생할 때는 하나의 테이블로 구성
'문돌이의 IT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자격증 2과목 SQL 기본 요약(2) (0) | 2018.08.18 |
---|---|
SQLD 자격증 2과목 SQL 기본 요약(1) (0) | 2018.08.16 |
SQLD 자격증 1과목 데이터모델링의 이해 요약 (0) | 2018.08.14 |
[컴퓨터과학과 데이터베이스]데이터 저장과 파일 (0) | 2017.05.20 |
[컴퓨터과학과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 정규화2 (0) | 2017.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