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데이터베이스 수업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기본정규형
제2정규형 : 릴레이션이 제1정규형을 만족하고 기본키의 부분 집합이 특성 속성을 종속하고 있지 않을 때
릴레이션의 무손실 분해 : 임의 분해 시 발생하는 문제점, 분해된 릴레이션을 사용하여 원래 릴레이션을 재구성하지 못하는 경우
제3정규형 : 릴레이션이 제2정규형을 만족하고, 기본키가 아닌 속성들이 어떤 키에도 이행적으로 종속되지 않은 상태
BC정규형 : 릴레이션이 제3정규형을 만족하고 릴레이션에서 성립하는 X->Y 형태의 모든 함수적 종속성에
대하여 X가 슈퍼키인 상태
다중치 종속성 : 다중치 종속성의 원인은 릴레이션의 속성값이 원자값만을 갖아야하는 제 1정규화 제약조건
문제풀이
1. 분해된 두 릴레이션을 조인하면 원래의 릴레이션에 들어 있는 정보를 완전하게 얻을 수 있는 상태 : 무손실 분해
2. 제약조건이 강한 순으로 정규형간의 관계로 올바른 것은? 5 > 4 > 3 > 2 > 1
3. 다음 릴레이션의 정규형은 무엇인가? 2정규형
4. 다음 릴레이션의 정규형은 무엇인가? 3정규형
5. 위 릴레이션의 정규형을 한 단계 증가시킬 때 사용되는 함수적 종속성은 무엇인가? 1번 건축물->공사구분
6. 아래 릴레이션에는 어떤 종류의 종속성이 존재하는가? 다중치 종속성
시험 전 문제풀이 필요!
정리하기
1. 함수적 종속성은 릴레이션 스키마의 속성들 사이에 명시되는 기본적인 제약조건이다. 함수적 종속성에 의한 방법과 추론하는 방법을 바탕으로 기본적인 정규형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① 제1정규형:어떤 릴레이션의 모든 속성이 단순 영역에서 정의되면, 이 릴레이션은 제1정규형이다. 즉, 모든 속성이 원자값(atomic value)을 가지는 것이다.
② 제2정규형:어떤 릴레이션 R이 제1정규형이고, 이 릴레이션의 기본키가 아닌 속성들이 기본키에 대해 완전 종속이면, 이 릴레이션은 제2정규형이다.
③ 제3정규형:어떤 릴레이션 R이 제2정규형이고, 이 릴레이션의 기본키가 아닌 속성들이 어떤 키에도 이행적으로 종속하지 않을 때, 이 릴레이션은 제3정규형이다.
④ BC정규형:어떤 릴레이션 스키마 R에서 성립하는 X → A 형태의 모든 함수적 종속성에 대하여 X가 R의 수퍼키이면, 이 릴레이션은 BC정규형이다.
2. 추가적인 정규형에는 다음과 같이 제4정규형과 제5정규형이 있다.
① 제4정규형:어떤 릴레이션 R에서 자명하지 않은 다중치 종속성 X ↠ Y가 존재하고 X가 수퍼키인 경우, 이 릴레이션은 제4정규형의 조건을 만족한다.
② 제5정규형:어떤 릴레이션의 종속성 집합 F+에 존재하는 모든 자명하지 않은 조인 종속성에 대해서 모든 Ri가 R의 수퍼키이면 R은 제5정규형의 조건을 만족한다.
'문돌이의 IT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자격증 1과목 데이터모델링의 이해 요약 (0) | 2018.08.14 |
---|---|
[컴퓨터과학과 데이터베이스]데이터 저장과 파일 (0) | 2017.05.20 |
[컴퓨터과학과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 정규화 (2) | 2017.05.19 |
[컴퓨터과학과 데이터베이스]SQL (0) | 2017.05.18 |
[컴퓨터과학과 데이터베이스]관계형 모델 (0) | 2017.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