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보조기억장치 개요
1. 보조기억장치의 필요성
- 컴퓨터에 저장해야 할 데이터의 급격한 증가
- 주기억장치를 보조하는 2차 기억장치
- 비휘발성 기억장치 : 전원 공급 없이 장기간 데이터를 보관함
2. 캐시 > 주기억 > 보조기억장치
3. 보조기억장치의 종류
순차 : 자기테이프
직접 :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SSD
ㅁ 자기테이프 기억장치
- 순차접근 기억장치
- 원하는 위치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없다(데이터 백업 용으로 사용)
4. 테이프 라이브러리
- 대용량 저장장치
ㅁ 자기디스크 기억장치
1. 직접접근 저장장치
- 대화식 처리를 위한 빠른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직접접근 저장장치가 필요
2. 자기디스크 기억장치
- 자성체가 코팅된 원판 형태의 기록 매체 위에서 판독/기록 헤드를 움직여 원하는 위치에
접근하는 직접 접근 저장장치
- 플로피디스크 : 산화철로 코팅된 평평하고 둥근 플라스틱으로 구성, 현재는 거의 사용 X
- 하드디스크 : 1개의 회전축에 여러 개의 금속 디스크를 결합하여 고속 회전
- 디스크어레이 : 수많은 하드디스크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한다.
ㅁ 광 디스크
- 레이저를 이용해서 기록면에서 데이터를 읽음
- 한장의 마스터로부터 인쇄하듯 찍어내서 대량생산이 가능
- ROM : 제작 단계에서 한 번만 기록, 내용의 추가 수정 불가
- WORM : 공백상태 디스크에 1회에 한해 기록할 수 있다.
- RW : 디스크에 반복적으로 쓰고 지울 수 있다. 약 1000회 정도 가능
- CAV (Constant Angular Velocity) 형식
- CLV (Constant Linear Velocity) 형식
광디스크에서 주로 상요되는 방식으로 일정한 선속도로 회전하여 기록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함
CAV 방식에 비해 직접접근 속도가 느림
ㅁ 반도체 기억장치
- USB메모리
USB(Universal Serial Bus) :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의 데이터 교환 버스 규격
플래시 메모리 :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지우고 다시 기록할 수 있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 SLC 방식 : 1개의 기억소자에 1개의 비트를 저장, 가격이 높음
- MLC 방식 : 더 많은 데이터 저장, 안정성 속도 낮음, 대신 가격이 저렴함
- SSD(Solid-State Drive)
자기디스크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나, 디스크 대신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저장
주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함
장점 : 내구성이 강하고 전력 소모가 적다. 기계적 움직임이 없어 데이터 읽는 시간이 매우 빠름
무게가 가볍다
단점 : 기록과 삭제 횟수가 한정되어 수명이 짧다. 가격이 비싸다.
[문제풀이 정리]
1. 계층적인 기억장치 구조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계층구조의 하위로 갈수록 접근속도는 느리지만 저장비용이 낮아지고 대용량을 제공한다.
2. 자기테이프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것은?
주로 데이터의 백업용으로 사용된다.
3. 하드디스크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디스크의 회전 속도는 디스크의 접근 속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4. 다음 중 여러개의 하드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여 데이터 저장의 신뢰성을 높이거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것은? RAID
5. SSD가 자기디스크보다 강점인것은? 전력 소모가 적다.
6. 좌표와 같은 공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가 아닌것은? 단순터미널
'방송통신대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송대 컴퓨터의이해 7강 데이터베이스 요약 (0) | 2018.03.17 |
---|---|
방송대 컴퓨터의이해 6강 소프트웨어와 정보 시스템 요약 (0) | 2018.03.17 |
방송대 컴퓨터의이해 4강 컴퓨터의 입출력 요약 (0) | 2018.03.16 |
방송대 컴퓨터의이해 3강 처리장치와 데이타처리 요약 (0) | 2018.03.14 |
방송대 컴퓨터의이해 2강 컴퓨터와 통신산업의 발전 요약 (0) | 2018.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