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 4학년 1학기가 시작됐다. 이번 학기는 틈틈이 강의를 다 듣고 정리해서 좋은 학점을 받아 볼 계획이다. 강의별로 정리를 해두고 시험 전 복습하는 게 목표이다. 


방송대 컴퓨터의이해 3강 처리장치와 데이타처리 요약


ㅁ 1. 처리장치


1. 처리장치 : CPU와 주기억중치

- CPU : 제어장치와 레지스터, 산술논리연산장치


2. 중앙처리장치(CPU)

- 처리를 실행하는 전자회로, 레지스터가 들어있다. 


ㅁ 2. 수치데이터의 표현


1.데이터의 저장

- 컴퓨터시스템의 전자회로는 전자신호인 임펄스의 유무를 감지한다.

데이터의 기본단위는 비트, 보통 8개의 비트를 모아 정보를 구성한다. 


2. 문자데이터의 표현

- ASCII : 7비트 + 1비트(검증) = 8비트

  미국 정보교환 표준코드로 개인용 컴퓨터 및 데이터통신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

- UNICODE : 16비트

  1991년 컨소시엄으로 개발, 세계 모든 언어들을 표현가능


3. 주기억장치 주소와 데이터 저장

- 호출시간 단위 : 컴퓨터의 속도

- 밀리초 -> 마이크로초 -> 나노초 -> 피코초


4. 주기억장치 주소와 데이터 저장

- 주기억장치의 각 바이트는 단일 주소를 갖는다. 

- 숫자, 영문자, 특수문자가 입력장치에서 읽혀 주기억장치로 보내지면, 비트의 형태로 바뀌어

기억된다.

- 고급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

- 기계어로 번역

- 주기억장치에 저장


5. 주기억장치의 발달과정

- 진공관 : 최초의 주기억장치로 사용, 신뢰성이 떨어지고 많은 전류가 필요

- 자기코어기억장치 : 1950년대 포레스터가 개발 20년간 활용


6. 반도체기억장치

- 반도체 칩속에 집적회로를 만들어 넣은 기억장치

- 앞으로는 광소자나 조셉슨소자, 갈륨비소소자 등의 사용으로 집적도가 높아질 예정

- 요즘 가장 많이 사용!


7. RAM(Random Access Memory)

SRAM : 전원이 공급되는 한 내용이 그대로 유지

DRAM : 전원이 공급되도 소멸 방지를 위해 계속 리프레싱을 해야함


SRAM은 비싸며 캐시메모리로 이용하고 DRAM은 주기억장치로 이용


8. ROM(Read Only Memory)

- 메모리가 제작될 때 데이터를 이 안에 기록한다.

- PROM : ROM과 같은 기능, 이용자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ㅁ 입력, 처리, 출력의 데이터 처리과정


1. 데이터 처리

- 필드 : 데이터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

- 레코드 : 여러 필드의 모임, 하나의 처리 단위

- 파일 : 레코드의 모임


2. 기본적인 자료 처리과정

- 입력장치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가 처리장치에 전달되면, 처리장치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정보를 만들어 출력장치로 보낸다.


3. 데이터입력/결과출력


4. 수치데이타_정수

- 1word = 4byte = 32bit



[문제풀이 정리]

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에니악(x)


2. 주기억장치 내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기본 단위는? ** 비트


3. 세계 각국의 언어를 좀 더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개발된 16비트 코드체계는? 유니코드


4. 가장 큰 기억장치 단위와 가장 빠른 호출시간 단위를 나타내는 것은? ** PB, psec


5. 반도체기억장치 중 제작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이용자가 사용하기 전에 

한 번에 한해 메모리 안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은? ** PROM방송대 컴퓨터의이해 3강 처리장치와 데이타처리 요약


ㅁ 1. 처리장치


1. 처리장치 : CPU와 주기억중치

- CPU : 제어장치와 레지스터, 산술논리연산장치


2. 중앙처리장치(CPU)

- 처리를 실행하는 전자회로, 레지스터가 들어있다. 


ㅁ 2. 수치데이터의 표현


1.데이터의 저장

- 컴퓨터시스템의 전자회로는 전자신호인 임펄스의 유무를 감지한다.

데이터의 기본단위는 비트, 보통 8개의 비트를 모아 정보를 구성한다. 


2. 문자데이터의 표현

- ASCII : 7비트 + 1비트(검증) = 8비트

  미국 정보교환 표준코드로 개인용 컴퓨터 및 데이터통신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

- UNICODE : 16비트

  1991년 컨소시엄으로 개발, 세계 모든 언어들을 표현가능


3. 주기억장치 주소와 데이터 저장

- 호출시간 단위 : 컴퓨터의 속도

- 밀리초 -> 마이크로초 -> 나노초 -> 피코초


4. 주기억장치 주소와 데이터 저장

- 주기억장치의 각 바이트는 단일 주소를 갖는다. 

- 숫자, 영문자, 특수문자가 입력장치에서 읽혀 주기억장치로 보내지면, 비트의 형태로 바뀌어

기억된다.

- 고급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

- 기계어로 번역

- 주기억장치에 저장


5. 주기억장치의 발달과정

- 진공관 : 최초의 주기억장치로 사용, 신뢰성이 떨어지고 많은 전류가 필요

- 자기코어기억장치 : 1950년대 포레스터가 개발 20년간 활용


6. 반도체기억장치

- 반도체 칩속에 집적회로를 만들어 넣은 기억장치

- 앞으로는 광소자나 조셉슨소자, 갈륨비소소자 등의 사용으로 집적도가 높아질 예정

- 요즘 가장 많이 사용!


7. RAM(Random Access Memory)

SRAM : 전원이 공급되는 한 내용이 그대로 유지

DRAM : 전원이 공급되도 소멸 방지를 위해 계속 리프레싱을 해야함


SRAM은 비싸며 캐시메모리로 이용하고 DRAM은 주기억장치로 이용


8. ROM(Read Only Memory)

- 메모리가 제작될 때 데이터를 이 안에 기록한다.

- PROM : ROM과 같은 기능, 이용자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ㅁ 입력, 처리, 출력의 데이터 처리과정


1. 데이터 처리

- 필드 : 데이터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

- 레코드 : 여러 필드의 모임, 하나의 처리 단위

- 파일 : 레코드의 모임


2. 기본적인 자료 처리과정

- 입력장치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가 처리장치에 전달되면, 처리장치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정보를 만들어 출력장치로 보낸다.


3. 데이터입력/결과출력


4. 수치데이타_정수

- 1word = 4byte = 32bit



[문제풀이 정리]

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에니악(x)


2. 주기억장치 내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기본 단위는? ** 비트


3. 세계 각국의 언어를 좀 더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개발된 16비트 코드체계는? 유니코드


4. 가장 큰 기억장치 단위와 가장 빠른 호출시간 단위를 나타내는 것은? ** PB, psec


5. 반도체기억장치 중 제작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이용자가 사용하기 전에 

한 번에 한해 메모리 안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은? ** PR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