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예제이다. 산술연산자와 삼항연산자를 활용하면 어떤 연도가 윤달인지 알 수 있다. 윤년은 4년 마다 2월이 29일까지 있는 해를 말한다. 어떤 연도를 4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 나오면 정답이다.

 

 우리는 29일이 있는 해를 무조건 윤달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보통은 윤년이라 표현해야 맞다. 자세한 차이점은 직접 검색을 해보길 바란다.

 

<script>

var  year = prompt("연도를 입력하면 윤년 여부를 알려준다");

             alert("당신은" +year+ "년을 입력했다");

 

             var result=((year%4)==0)? "윤년이다" : "윤년이 아니다";

             document.write(result);

</script>                        

 

1단계: 입력창을 띄우는 prompt 값을 year라는 변수로 선언한다. 괄호 안에 내용을 넣으면 출력 시 입력창이 뜬다.

 


2단계: alert("당신은" +year+ "년을 입력했다"); 입력하면 쌍 따옴표 안에 있는 문자와 당신이 입력한 연도를 출력해 준다. 2016년은 2 29일까지 있으니 2016년을 넣어보자.

 


3단계: 나머지를 구하는 % 산술연산자와 ()? : 삼항연산자를 활용해 윤년과 윤년이 아닌 값을 표현하고 실행시킨다.

 

 

많은 예제를 통해 숙달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자. 연산자에 대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

 

<관련글보기>

[문돌이의IT] 자바스크립트 논리연산자, 삼항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

[문돌이의IT] 자바스크립트 산술연산자의 종류를 알아보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