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연산자는 true나 false로 값을 표현한다. 연산자의 종류는 and 와 or 조건이 있는데 기호로는 &&, || 로 나타낸다. or조건을 나타내는 막대기 두 개는 보통 키보드 백스페이스 버튼 바로 왼쪽 버튼을 누르면 된다. 간단하지만 한 번도 쓸 일이 없던 기호라 잠시 헤맸었다.
&&연산자는 식에 있는 모든 연산자가 모두 true의 결과를 나타내야 결과를 true로 나타내야 하기에 조건을 충족하기가 상대적으로 힘들다.
|| 연산자는 or 조건으로 연산자 중 하나만 true여도 결과를 true로 나타내기에 조건을 충족하기가 상대적으로 쉽다.
<script>
var moon=true;
var it=false;
var a = moon && it;
document.write(a); // moon과 it의 논리값이 다르기 때문에 false
document.write("<br>");
var b = moon || it;
document.write(b); // moon의 값은 true이기 때문에 true 출력
</script>
삼항연산자는 항이 3개인 연산자로 조건 연산자라고도 한다.
일단 moon을 변수로 선언 후 true 값을 준다. 삼항연산자의 양식은 (논리값)? True값 : False값; 이다. 즉, 괄호 안의 값이 맞으면 true값의 내용을 출력하고 틀리면 False 값을 출력한다.
아래 수식은 괄호 안에 ‘moon이 false 이니?’ 라고 묻는 내용인데 moon은 true라고 선언을 했으니 결과는 틀리다. 결국 호출되는 값은 alert(“땡”) 이다.
<script>
var moon=true;
(moon=false)? alert("정답!"):alert("땡");
</script>
'문돌이의 IT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돌이의IT] 자바스크립트 switch문을 확실하게 익혀보자 (0) | 2016.02.03 |
---|---|
[문돌이의IT] 자바스크립트 for문을 심도있게 이해해보자 (0) | 2016.02.02 |
[문돌이의IT] 자바스크립트 산술연산자의 종류를 알아보자 (0) | 2016.01.24 |
[문돌이의IT] 자바스크립트 반복문을 파헤치자(for문) (0) | 2016.01.23 |
[문돌이의IT] 자바스크립트 변수의 개념을 알아보자 (0) | 2016.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