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데이터 모델링
- 시스템 대상이 되는 업무를 분석하여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설계 과정에서 업무의
내용을 적절한 표기법으로 표현하는 것
- 모델링의 관점 : 데이터 관점, 프로세스 관점, 데이터와 프로세스 상관 관점
ㅁ DB 모델링 과정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추상화 기법 사용, 개념적으로 일반화 시킨 데이터 타입, 속성
,관계, 제약조건을 이끌어내는 과정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특정 DBMS에 맞추어 데이터를 표현하는 과정
-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 DB 파일의 내부 저장구조, 파일 구성, 인덱스, 접근 경로 등을 결정
ㅁ 속성 : 개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특성
- 속성에 포함될 수 있는 값의 특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
ㅁ 속성의 종류
- 단순 속성 : 더 이상 작은 구성요소로 나눌 수 없는 속성
- 복합 속성 : 더 작은 구성요소로 나눌 수 있는 속성
- 단일값 속성 : 하나의 개체에 단 하나의 값을 갖는 속성
- 다중값 속성 : 하나의 개체에 여러 개의 값을 갖는 속성
- 유도 속성 : 다른 속성의 값으로부터 값이 유추될 수 있는 속성
- 저장 속성 : 유도 속성을 위해 사용되는 속성
- null 속성 : 특정 개체가 일부 속성값을 가지지 못하여 null 값을 갖는 속성
속성값을 모르거나 일부 속성이 적용될 수 없는 경우 null 표기
ㅁ 제약조건 : 관계에 대한 표현을 명확하기 위해 사용
- 사상수 : mapping cardinality, 각각의 개체가 얼마만큼의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지 명시한 수
- 참가 제약조건 : paticipation constraints, 전체적 참가, 부분적 참가
- 키 속성
ㅁ 문제풀이
1.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목표, 범위를 기준 조사 범위를 결정하고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는 등을 수행하는 세부 단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사용자 요구사항 도출
2. ER 모델의 구성요소 중 실세계에 존재하는 다른 모든 객체와 구별되는
유ㆍ무형의 사물의 모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개체 집합
3. "개체 집합의 각 개체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속성의 집합을 뜻한다. 즉, 어떤 개체의 이 값은
각각의 개체들을 서로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개체 집합에서 유일한 값이다. "
-> 키 속성
5. 키 속성은 밑줄로 표기, 다중값 속성은 속성명 양쪽에 대괄호 { } 를 추가한다.
-> 시험 전 한 번 더 확인
6. 단일 실선은 부분 참여, 이중 실선은 다중 참여를 나타낸다.
-> 시험 전 한 번 더 확인
ㅁ 요약정리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과정은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의 단계로 진행된다.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는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분석하고 기록하는 단계로 진행되며, 요구사항이 모호하거나
정확하지 않을 때는 각 단계를 오가면서 요구사항을 교정한다.
데이터 모델링이란 데이터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모델링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기까지는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과정으로 나뉜다.
ER 모델은 전체적인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구조를 표현하는 전체 스키마의 명세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델링 도구로, 실세계의 조직 업무의 의미와 상호작용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 매우 유용하다.
ER 모델의 기본 요소인 개체는 공통된 속성을 가지며 구별 가능한 실세계의 개체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개체들은
각 개체 집합의 구성원들이 가지는 기술적 특성인 속성(attribute)들의 집합으로 표현되며, 속성의 유형은 단순 속성,
복합 속성, 단일값 속성, 다중값 속성, 유도 속성, 저장 속성, 널 속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ER 모델의 중요한 제약조건은 사상수, 참가 제약조건, 키 속성으로 나뉘며, 이진 관계에서 사상수 비율은
1:1(일대일), 1:N(일대다), N:1(다대일), M:N(다대다)의 형태가 있다. 참가 제약조건에서는 특정 개체 집합이
관계 집합에 참여할 때 모든 개체가 관계에 참여한다면 전체적 참여, 일부만 참가하면 부분적 참여라고 한다.
또한 구조적 제약조건을 통해 개체가 최소 몇 번, 최대 몇 번 관계에 참여할 수 있는지 정의할 수 있다. 키 속성의 경우
어떤 개체 집합 안의 각각의 개체들을 구별해 주기 위해 선택되는 것으로, 최소한의 속성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며,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속성 조합을 키라고 한다.
동일한 개체 집합이 서로 다른 역할로 참가하여 생성되는 관계 집합을 재귀적 관계 집합이라고 한다. 이때 관계에
참가하는 개체가 행하는 기능을 개체의 역할(role)이라고 한다.
약한 개체 집합은 1:N 관계 집합을 통해 강한 개체 집합에 연결해야 하며, 약한 개체 집합의 구별자(또는 부분키)는
약한 개체 집합 내의 개체들을 구분하는 속성의 집합이다. 따라서 약한 개체 집합의 키 설정은 반드시 지배 개체
집합의 키와 약한 개체 집합의 부분키로 구성되어야 한다.
'문돌이의 IT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과학과 데이터베이스]SQL (0) | 2017.05.18 |
---|---|
[컴퓨터과학과 데이터베이스]관계형 모델 (0) | 2017.05.18 |
[방통대 컴퓨터과학과]데이터베이스의 이해 요약(2) (0) | 2017.05.02 |
[방통대 컴퓨터과학과]데이터베이스의 이해 요약 (0) | 2017.05.01 |
[Oracle]오라클 쿼리 기초 (0) | 2016.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