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컴퓨터과학과]데이터베이스의 이해 요약
ㅁ 데이터 정의 언어(DDL)
- 데이터베이스 시키마를 정의하기 위한 언어
- 제약사항 기술(도메인 제약사항, 참조 무결성, 검증, 권한)
ㅁ 데이터 조작 언어(DML)
- 구조화된 데이터에 사용자가 접근 및 조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언어
- 데이터 조작 기능이 쉽고, 정확, 안전해야 함
- 검색, 삽입, 삭제, 수정
ㅁ DBMS의 구성요소
- 질의 처리기(요청을 해석 하는 모듈), 저장 관리자
ㅁ 트랜잭션 관리
- 하나의 논리적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일련의 데이터베이스 명령의 집합
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아키텍처
- 중앙집중식 방식
- 분산 시스템 방식
ㅁ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 2계층 구조
- 3계층 구조(2계층 구조 + 애플리케이션 서버)
ㅁ DB사용자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 일반 사용자 : APP 프로그램을 사용해 DB 시슽메에 접근하는 비전문 사용자
- APP 프로그래머 : APP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컴퓨터 전문가
- 전문 사용자 : 프로그램 없이 SQL, DB 분석 툴을 사용해서 DBMS를 조작하는 사용자
ㅁ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
- 여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에 대한 요건을 결정, 뷰 제공, 중재자 역할 수행,
데이터 처리 경제적 효율성 극대화
- 설계, 관리, 운용 및 통제, 성능 측정
ㅁ 문제풀이
1. 데이터를 디스크 저장장치와 메인 메모리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운영체제의 파일 관리자와 상호 작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 저장, 검색 및 수정을 수행하는 DBMS 모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저장관리자
2. DBMS에서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일련의 명령문을 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트랜잭션
3. 트랜잭션 ACID 특성 중, 하나의 트랜잭션은 수행되는 과정에서 다른 트랜잭션에 방해를
받지 않아야 한다는 특징은 무엇인가?
-> 고립성
4.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에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비즈니스 규칙을 저장한 중간 계층을 삽입하여 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아키텍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3계층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5.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임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 DBMS 개발
ㅁ 요약정리
DBMS는 수많은 기능 프로세서(입출력 처리기, 파서, 선행 컴파일러, 권한 제어, 무결성 검사기, 갱신 처리기, 질의 처리기,
최적화기, 실행코드 생성, 트랜잭션 관리기, 회복 관리기, 데이터 관리기, 사전 관리기 등)로 구성된다.
DBMS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모든 접근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로서 데이터를 저장·조작·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DBMS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일반적인 데이터 모델을 제공한다. 각 사용자의 뷰는 데이터 모델에 따라 결정된다.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기술한 것을 스키마라고 한다. 이 스키마는 레코드 형태와 릴레이션 같은 데이터베이스 내의 모든
데이터의 논리적 단위에 명칭을 부여하고 그 의미를 기술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는 DBMS에 대한 현재까지의
최신 정보와 기술, 관련 소프트웨어 응용 능력, 컴퓨터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업무의 관리 능력 등에도 상당한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특정 임무는 설계, 관리, 운용 및 통제, 성능 측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는 많은 수의 PC, 워크스테이션, 파일 서버, 프린터, 데이터베이스 서버, 웹 서버, 기타 구성요소들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팅 환경을 다루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쪽에서 수행될 수 있다.
DBMS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면 이 프로그램은 서버 쪽에 있는 DBMS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일단 연결이 설정되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DBMS와 통신할 수 있다.
계층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는 2계층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서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이에 중간 단계를
하나 더 추가한 것이다. 중간 단계 또는 중간 층(middle tier)은 애플리케이션 서버 혹은 웹 서버라고 부르기도 한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일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머, 전문 사용자, 특수 사용자 등의 사용자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사람인 DBA는 데이터베이스와 DBMS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감독하는 사람이다.
DBA는 어느 조직에서든지 데이터 처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책임이 있다. DBA는 여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에 대한 요건을 결정하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뷰를 제공해야 한다. 또 데이터 처리의 경제적 효율성을 극대화해야 한다.
DBA의 임무는 설계, 관리, 운용 및 통제, 성능 측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문돌이의 IT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과학과 데이터베이스]관계형 모델 (0) | 2017.05.18 |
---|---|
[방통대 컴퓨터과학과]데이터베이스 모델링 요약 (0) | 2017.05.02 |
[방통대 컴퓨터과학과]데이터베이스의 이해 요약 (0) | 2017.05.01 |
[Oracle]오라클 쿼리 기초 (0) | 2016.12.22 |
오픈소스DB mariadb 설치하기 (0) | 2016.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