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5과목이다. 시험까지 남은 시간은 16일로 아직 여유가 있다. 데이터 통신 과목은 문과생에게는 생소한 개념이 많아 자세히 공부해야 한다. 회선과 패킷의 개념에 대해서는 확실히 기본을 다지고 문제 풀이로 넘어가자.
- 통신회선
<동축케이블>
주파수 범위가 넓어 데이터 전송률이 높다. 아날로그, 디지털 신호 전송 모두 사용한다. 신호의 감쇠 현상을 막기 위해 일정 간격마다 중계기를 설치해 줘야 한다.
<위성 마이크로파>
지상에서 쏜 마이크로 주파수를 통신 위성을 통해 변환, 증폭한 후 다른 주파수로 지상에 송신하는 방식. 위성 통신 시스템은 위성, 지구국, 채널로 구성된다. 전송 지연 시간이 길고 보안성이 약하다.
- 주파수 / 대역폭
주파수: 단위 시간 내에 신호 파형이 반복되는 횟수를 의미(Hz)
대역폭: 주파수의 변화 범위
- 비동기식 전송 / 동기식 전송
비동기식: 문자 코드 앞 뒤에 Start Bit, Stop Bit를 붙여서 구분하여 전송, 저속 단거리 전송에 사용하고 효율은 떨어지는 편이다.
동기식: 미리 정해진 문자열을 한 블록으로 만들어 일시에 전송, 프레임 단위로 전상하여 속도가 빠르다. 주로 원거리에 사용하며 단말기는 반드시 버퍼 기억 장치를 내장해야 한다.
- 신호 변조 방식
진폭편이변조: 2진수 0과 1을 서로 다른 진폭의 신호로 변조
주파수편이: 1200bps 이하의 저속도 비동기식 모뎀에서 사용
위상편이변조: 파형의 시작 위치를 다르게 해서 신호를 전송
직교진폭변조: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상호 변환하여 신호를 얻음
- 펄스 코드 변조(PCM)
화상, 음성 등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방식
순서: 송신(표본화→양자화→부호화) → 수신(복호화→여파화)
- 베이스밴드 전송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를 직류 펄스의 형태로 그대로 전송한다. 신호만 전송해서 신호의 품질이 좋다.
- 다중화기
하나의 회선에 여러 단말기를 동시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인데 다중화기라는 단어
자체가 생소했다.
- 패킷 교환방식
가상회선: 단말기 간 회선을 미리 설정
데이터그램: 경로 설정 x, 인접 노드의 트래픽을 감안해서 독립적으로 운반
- 라우팅(Routing)
최적의 패킷 교환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으로 IGP, EGP, BGP 가 있다.
- TCP/IP
여러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표준 프로토콜
<관련글보기>
- 문과생의 정보처리기사 필기독학(D-17) – 4과목 소프트웨어 공학
- 문과생의 정보처리기사 필기독학(D-18) – 3과목 운영체제
- 문과생의 정보처리기사 필기독학(D-19) – 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
'문돌이의 IT > IT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1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독학 후기 (2) | 2016.03.25 |
---|---|
문과생의 정보처리기사 필기독학(D-15) – 2012년 1회 필기시험문제 (0) | 2016.02.20 |
문과생의 정보처리기사 필기독학(D-17) – 4과목 소프트웨어 공학 (0) | 2016.02.18 |
문과생의 정보처리기사 필기독학(D-18) – 3과목 운영체제 (0) | 2016.02.17 |
문과생의 정보처리기사 필기독학(D-19) – 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 (0) | 2016.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