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컴퓨터과학과 html 웹프로그래밍 정리내용입니다.


DOM : Document Object Model 문서객체모델

브라우저가 HTML 문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정의해 놓은 표준

웹 문서가 적재되면 웹브라우저는 정적으로 DOM을 생성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 트리로 표현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프로그램 실행 중에 웹 문서의 내용, 구조, 스타일 등에 대한 동적인 작업가능


1. DOM 요소의 접근방법

 - id를 이용 : getElementById("아이디명")

 - 태그명을 이용 : getElementsByTagName("태그명")

 - 클래스명 이용 : getElementsByClassName("클래스명");


2. DOM 요소의 수정

  - innerHTML 속성 : HTML 형식으로 요소를 가져올 때 사용


  - textContent 속성 : HTML 태그와 속성을 제외하고 내용만을 가져옴


  - 요소의 속성 수정 : HTML 요소에서 사용하는 속성을 그대로 사용해서 값 할당


  - CSS 스타일의 동적인 수정도 가능 : 요소에 접근 후 스타일 변경하면 됨



3. DOM 노드 삽입과 삭제 

  - 새로운 요소의 삽입_텍스트 노드를 갖는 경우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Generator" content="EditPlus®">

  <meta name="Author" content="">

  <meta name="Keywords" content="">

  <meta name="Description" content="">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input type="button" value="요소 추가" 

  onClick="addElement()"><br/>

<div id="main"></div>

 </body>


 <script>

function addElement() {

var newP = document.createElement("p");

var txtNode = document.createTextNode("새로운 p 요소추가");

newP.appendChild(txtNode);

document.getElementById("main").appendChild(newP);

}

 </script>


</html>


 - 기존요소의 삭제 : 동일방법 removeChild 사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