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를 사용하면서 여러 케이블을 사용해왔지만 정확히 어떤 기능들을 하는 지는 모르고 있었다. 대표적으로는 랜선이 있는데, 인터넷을 하기 위해 사용했지만 그 안에 4pair의 선이 들어 있다는 사실은 몰랐다. 총 8개의 선이 2개 쌍으로 꼬여 있는 형태로 되어 있고 PC에 연결을 위해 커넥터를 끼우면 우리가 알고 있는 랜선이 된다.
Twisted-Pair
Twisted-Pair의 종류는 STP(Shielded twisted pair), UTP(Unshielded twisted pair)가 있는데, STP의 경우 알루미늄으로 보호가 되어 있어 더 안정적이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특징이 있다.
전송 거리 : 100M
전송 속도 : 100Mbps ~
Coaxial Cable(동축 케이블)
내부에 구리 선이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ThinNet : 얇은 선을 사용하고 있어 전송거리가 185m로 제한
ThickNet : 전송거리가 500m까지도 사용 가능
전송속도 : 10Mbps~ 100Mbps
Fiber-Optic(광 케이블) : 유리 섬유, 석영 사용
Single Mide : 빛의 장파장을 사용(빛 신호가 하나만 전달)
Multi Mode : 빛의 단파장을 사용(여러 개의 빛 신호가 전달)
전송속도 : 1Gbps ~
<Type of Ethernet>
100BaseT
100 : 전송 속도(100Mbps)
Base : Baseband(디지털 신호로 전송)
T : Twisted Pair의 약자
100Base2 - ThinNet
10 : 전송 속도(10Mbps)
Base : Baseband(디지털 신호로 전송)
2 : 전송거리(200m)
10Base5 - ThickNet
10 : 전송 속도(10Mbps)
Base : Baseband(디지털 신호로 전송)
5 : 전송거리(500m)
* 숫자가 들어가면 대부분(전부 X) 동축 케이블이라 생각하면 된다.
1000BaseFx
1000 : 전송 속도(1000Mbps)
Base : Baseband(디지털 신호로 전송)
F : Fiber-Optic(광 섬유 케이블의 약자)
x : 크로스 여부(케이블 내부가 꼬여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1GBaseFx
1G : 전송 속도(1Gps)
Simplex : 단방향 통신
e.g TV, 라디오(데이터를 수신), 방송국(송신)
Duplex : 양방향 통신
Half Mode : 반 이중 통신(하나의 기계 장치에서 송/수신기가 동시에 동작하지 못하고 하나만 동작하는 것. e.g 무전기) - 동축케이블
Full Mode : 전 이중 통신(하나의 기계의 송/수신기 동시 동작이 가능한 것. e.g 유선전화기, 유선인터넷) - Twisted-Pair도 지원
Routher - Network 연결(LAN - LAN 간 연결)
1 TD
2 TD
3 RD
6 RD
Switch - Device(Host) 연결(LAN의 영역을 확장)
1 RD
2 RD
3 TD
6 TD
* 라우터와 스위치의 핀 역할이 바뀐다.
'문돌이의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서브네팅 Subneting (1) | 2016.06.14 |
---|---|
Classful, Classless 주소 지정방식 (0) | 2016.06.12 |
네트워크기초 OSI7 Layer (0) | 2016.06.05 |